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3)
Swift 기본 문법 - 자료형 이 글은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하는 글입니다. 언제든 건전한 비판은 환영합니다. 상수와 변수 스위프트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을 채용한 언어이므로 불변 객체를 굉장히 중요시 한다. // 상수 선언 let 변수이름 : 타입 = 값 // 변수 선언 var 변수이름 : 타입 = 값 값이 명확하다면 타입 생략이 가능하지만, 나중에 값을 넣을 경우는 꼭 타입을 명시해줘야 한다. //타입 생략 var number = 123 let str = "kor" //값을 나중에 저장하기 var number : Int let str : String //값 저장 number = 123 str = "kor" - 변수 데이터 vs 상수 데이터 변수는 변경 가능한 데이터지만 상수는 변경 불가한 데이터이다. 그래도 이해가 안..
ViewController 특징 및 생명주기 - ViewController 생명주기 View Controller의 생명주기는 Scene의 전환과 복귀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장면으로 전환하거나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View Controller의 객체의 생성과 소멸을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엡을 처음 실행하거나 새로운 장면으로 전환될때 그 장면을 담당하는 ViewController객체가 새로 생성됩니다. 생성된 객체는 메모리에 로드되어 일을 하게 됩니다. 주어진 역할이 끝나면 메모리에서 해제되면서 소멸합니다. - view 상태 변화 ViewController는 다음과 같이 4가지 상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Appearing(나타나는 중) : ViewController가 스크린에 등장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등장을 완료하기..
[IOS] 앱의 생명주기(LifeCycle) - 생명주기(Life Cycle) 생명주기라는 것은 앱의 최초 실행부터 앱이 완전히 종료되기까지 앱이 가지는 상태를 뜻합니다. 먼저 - 엡 상태(App State) App에는 5가지 App State가 존재합니다. Not Running : 앱이 실행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종료되어 동작하지 않는 상태. Inactive(Foreground) : 앱이 실행되면서 foreground에 진입하지만, 어떠한 이벤트도 받지 않는 상태, 앱의 상태 전환 과정에서 지나가는 단계이다. Active(Foreground) : 앱이 화면상에서 사용자에게 보이며 실행중이며, 이벤트를 받고 있는 상태. Backgroud : 앱이 백그라운드에 있으며, 다른 앱으로 전환되었거나 홈버튼을 눌러 밖으로 나갔을 때의 상태. 예를 들면 유튜..